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화통역의기초 -3과 수화 및 수화통역 연구의 개관 - 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수화통역

by smapette 2023. 5. 12. 21:54

본문

1. 수화언어 연구의 개관

 

(1) 수화표기 및 음운론에 관한 연구

  • 음운론 : 수화에서 수형, 수위, 수동, 수향, 비수지신호는 음성언어의 음소와 동등한 단위 / 가장 낮은 수준의 구성소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합성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형태소를 이루게 되고 나아가서는 수화 낱말을 형성함.
  • 통사론 : 수화는 문법을 지니는 언어 / 수화 낱말의 차례(어순)에도 규칙이 존재.
  • 수화의 구성요소(수화소) : 수형, 수위, 수동, 수향, 비수지신호
  • 손이 관여하는 부분 : 손모양(어휘 형성, 어형 변화), 손위치(굴절), 손움직임(양상)
  • 손이 관여하지 않는 부분 : 표정, 입모양, 머리 움직임(억양, 악센트 등 나타냄)
  • 비수지신호(non manual signals : NMS) :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역할
  • 음성언어에서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는 가장 작은 단위인 음소에 해당
  • 최소대립쌍과 단어쌍으로 구분
  • 수화의 분절성 입증

(2) 수형

①한국 수화의 수형소

  • 스토키(1960) 19개 : 의미 있는 움직임을 하는 손의 결합구조
  • 김승국(1983) 29개 : 의미 있는 위치에서 의미 있는 운동을 하는 한 손 또는 두 손의 결합
  • 석동일(1989) 44개 : 어떤 위치에서 어떤 방향으로 어떤 동작을 하는 두 손의 형태
  • 김 칠 관(1998) 52개

② 수형에서 의미 차이를 보이는 최소 대립쌍

수위와 수향이 같으며 수형에서만 달라 그 의미가 바뀌는 수화

 예) 닭 - 경찰, 예쁘다 - 어렵다

 

(2) 수위

① 한국 수화의 수위소

  • 스토키 - 수화가 이루어지는 위치 12개
  • 김승국 23개 - 의미 있는 운동을 하는 위치
  • 석동일 20개

② 수위로 의미 차이를 보이는 최소대립쌍

 수위가 달라지면서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의 쌍

예) 만들다 - 하다 - 수고

 

(3) 수동

①한국 수화의 수동소

  • 스토키 24개
  • 김승국 36개 : 수화의 운동성분 즉 수형의 운동
  • 석동일 49개 : 운동의 방향, 양손의 관계와 동작의 양과 질적 변화 포함

② 수동에서의 의미 차이를 보이는 최소대립쌍

 수동이 달라짐으로써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의 쌍

예) 배우다 - 멋있다, 행동 - 자유

 

(4) 수향

① 한국 수화의 수향소

  • 김승국 - 손바닥방향 10개, 손가락 방향 10개

②수향에서의 의미차이를 보이는 최소대립쌍

예) 연습/ 청인, 놀다/사귀다

 

(5) 비수지신호(NMS : Non Manually sign)

①손 이외 몸이나 머리의 움직임, 눈 응시, 얼굴 표정 등 은성 언어의 장단이나 강세와 같은 비분절음의 기능

 

②비수지 기호에서의 의미 차이를 보이는 최소대립쌍

 

예) 아깝다/귀엽다, 시다/쓰다/짜다

 

 

 

 

 

 

①②③

 

 

 

 

 

 

 

①②③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