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화통역사는 의사소통참여자들의 감정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기계적으로 메시지 수신, 송신 역할
(2) 수화통역사는 의사소통흐름에서 상수도관과 같은 파이프나 전화선 보청기와 같은 존재
(3) 수화통역사는 수화통역 과정에 과거 경험이나 생각, 느낌이 개입하는 것은 의사소통 잡음, 변인에 해당
(4) 1970년대 미국에 풍미. 현재 한국에서 주로 행해지는 모델
(5) 송수신모델을 자신의 수화통역모델로 선택한 수화통역사의 수화통역과정
(6) 송수신모델의 시사점
(7) 송수신모델에서 수화통역사는
(1) 원어로 표현된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하기
(2) 대상 언어로 의미를 부호화하기
(3) 메시지 원뜻이 대상언어에서도 보존되도록 표현하기
(1) 수화통역사의 성격, 직관에 따라 원메시지가 어떻게 해석되는가가 달라짐
(2) 수화든 말이든 자신이 표현한 내용이 얼마나 정확한가 하는 자신의 느낌뿐만 아니라 대화 참여자로부터 시각적 단서를 통해 피드백을 받음.
(1) 수화통역의 성공과 실패에 관련된 여러 가지 요인들과 그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춤.
(2) 대화참여자들의 역할뿐만 아니라 대화참여자들이 상호작용하고 있는 심리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역할도 중요하게 다룸.
(3) 수화통역의 구성요소
① 대화참여자 : 수화통역에 참여하고 있는 3 사람 이상의 사람들
②메시지 : 송신자가 표현한 것으로 음성언어 형태일 수도 있고, 비음성 언어(수화) 형태일 수도 있다.
③ 환경 : 수화통역이 되고 있는 대화가 일어나고 있는 심리적 물리적 환경으로, 심리적 환경은 사회적 맥락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④ 상호작용 : 각 구성요소가 각자 제 역할을 하긴 하지만, 서로 간에 상호작용을 하면서 함께 수화통역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 환경(상황) : 장소, 시간, 제삼자
(2) 목적 : 행위 유형
(3) 대화참여자 : 개인참여자 - 개인요인(기분 혹은 태도), 사회요인(나이, 성별, 직업 등), 참여자 간의 관계(실제역할과 대인 간 관계, 지각된 역할과 대인 간 관계)
(1) 메시지 형식(form)과 내용(content)
(2) 잉여정보 - 목소리톤, 태도, 정신에 대한 정보
(3) 의사소통 채널과 언어형식 - 음성, 수화, 문자
(4) 상호작용 표준과 해석 표준
(5) 이야기 장르 - 강의, 예배, 신변잡기 등
(1) 수업소개 : 수업 분위기 조성(교사와 보조교사 소개)
(2) 문제 제시
(3) 문제해결시도
(4) 수업 정리
(5) 후속 작업
(6) 결과물 제시 및 발표
수화통역의기초 -3과 수화 및 수화통역 연구의 개관 - 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0) | 2023.05.12 |
---|---|
수화통역의기초 -1과 수화통역의 전망과 동향 - 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0) | 2023.04.25 |
수화통역학개론 -7과 수화통역의 직무와 윤리 (2)-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0) | 2023.04.19 |
수화통역학개론 -7과 수화통역의 직무와 윤리 (1)-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0) | 2023.04.19 |
수화통역학개론 -5과 통번역 훈련 (3)-수화통역사 필기시험 대비 (0) | 2023.04.14 |
댓글 영역